우리나라는 현재 한강 작가가 소설 '채식주의자'로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는 뉴스가 언론을 뒤덮었다.
한국 최초의 노벨문학상, 그리고 한국의 두번째 노벨상이니 국가차원에서 기쁜일이다.
한편 일본은 이 부분은 거의 조명 안하고 있고,
대신 일본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이하 피단협)의 노벨평화상 수상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일본의 역대 두번째 노벨평화상(첫번째는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이고, 서른번째 노벨상 수상이다.
일본 역시도 일본 나름대로 경사가 났다고 보면 되겠다.
내가 굳이 한강의 노벨문학상이 아닌, 피단협의 노벨평화상을 언급하는 건,
내가 친일이라서, 굳이 일본의 노벨상 이력을 강조하기 위해서 그런 건 아니다.
오히려 강조하자면 일본의 단 두번뿐인 노벨평화상이 가지는 그 공통점이겠다.
사토 에이사쿠 전 총리가 1974년 노벨평화상을 받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환태평양 정세의 안정화 및 핵확산급지조약 체결에 대핸 기여'
물론 이 선정에 대해 정치적 이해관계가 없지는 안겠지만, 결론적으로 사토 총리의 노벨평화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비핵화 3원칙(非核化3原則)
"가지지도, 만들지도, 들이지도 않는다(持たず、作らず、持ち込ませず)"
이 세 원칙 때문이라 봐도 무방하다.
일본은 세계 최초이자 유일의 원자폭탄 피해국이다.
국민정서에서 방사능이나 원자력에 대한 공포가 잠재되어있고, 이건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부활해 현재도 남아있다.
그런데 그 정서를 역행하여 핵무기를 개발해 배치할 필요가 있을까?
있었다.
1964년 말 중국은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다.
냉전의 한풍이 몰아치는 정세 속 동아시아 전선에는 소련에 이어 중국까지 핵무기보유국이 생겨버렸고,
이에 대한 대비로 미국령인 오키나와 혹은 북마리아나 제도에 전략핵무기를 배치하자는 논의가 시작된다.
한국의 핵무기 개발 추진도 이 즈음이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계정세에서 일본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한국의 경우에서 보듯 미국과 제1세계의 눈초리를 받으며 굳이 핵개발을 시도해야 할까?
아니면 수그리고 평화를 강조할 것인가?
1964년 말 총리가 된 사토의 선택은 평화였다.
여기에는 미국을 건드릴 필요도, 국민 감정을 역행할 필요도 없다는 정치적 판단이 있었을 것이고,
이 부분을 기반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협상할 수 있다는 계산도 있었을 것이다.
결국 오키나와는 1972년 일본에 반환되었고, 1968년 핵확산금지조약이 UN에서 결의된다.
그러면 이제 핵확산금지조약에 전세계를 참여시켜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냉전의 전선에 붙어있던 일본의 입장이 크게 영향을 주었는데
바로 사토 전 총리의 비핵화 3원칙이었다.
즉 지금의 핵무기 관련 체제에 있어 일본이 미친 긍정적 영향력은 뚜렷했다는 것이다.
지금도 비핵과 3원칙은 일본 정부의 공식입장이자 방침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아직도 일본은 핵무기를 가지지도, 만들지도, 들이지도 않고 있다.
두번째 노벨평화상도 핵무기와 관련된 것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피해자들을 위한 단체를 전국단위로 확대시켜 만든 피단협이 받았다는 건
어쩌면 일본에 새로운 메시지를 던져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방사능의 위험성, 원자력의 위험성, 그리고 비핵화 3원칙의 필요성 말이다.
비핵화 3원칙을 만든 사토 에이사쿠는 자민당 소속이었고, 보수본류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이다.
히로시마는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가 본적을 둔 곳이자 지역구이고, 최초의 원폭피해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가끔 자민당 내에서 비핵화 3원칙을 두고, 이를 수정 혹은 폐기하자는 움직임이 나온다.
미국의 핵무기를 오키나와에 배치시키고, 이를 위해 비핵화 3원칙을 폐기하자는 것이다.
지금의 일본, 지금의 자민당에게 있어 핵무기는 어떤 의미인지
피단협의 노벨평화상 수상이 이를 다시 한번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일본 정치 > 레이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일본 정치 주요 일정 (0) | 2024.10.28 |
---|---|
10월 9일 일본 당수토론 3 (0) | 2024.10.10 |
10월 9일 일본 당수토론 2 (0)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