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시작점, 쇼와대공황
·
일본 근현대사/전전 쇼와
덴노가 바뀌면 뭐가 있다. 이게 현인신 반신반인의 위업인가?헤이세이 시대의 아키히토 덴노가 양위하고 레이와 시대의 나루히토 덴노가 즉위했고,즉위식 후 며칠이 지나자 우한에서 코로나 19가 시작되었다.쇼와 덴노가 훙하고 헤이세이 시대의 아키히토 덴노가 즉위하자 버블경제가 꺼지기 시작했다.그리고 다이쇼 덴노가 훙하고 쇼와 덴노가 즉위하자즉위식도 전에 대공황이 터져버렸다. 일본은 다른 나라에 비하면 대공황을 빨리 맞은 편이었다.그렇기에 대공황에서 먼저 탈출한 느낌도 없지 않지만, 그 과정은 그 어떤 나라보다도 험난했다고 말할 수 있겠다.아 독일 제외.대공황이 시작된 것은 1926년(다이쇼15) 중순이었다.다만 저 당시에는 다이쇼 덴노가 생사를 오가는 게 더 큰 이슈였고,1차대전의 전후공황과 관동대지진의 여파 ..
대공황에서 시작되는 광기, 메이지 혁명의 멸망
·
일본 근현대사/전전 쇼와
나는 메이지 유신을 고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그 이유에는 내 주변 사람들의 (그들의 성향과 사상에 상관없이 나오는) 메이지 유신에 대핸 고평가나내가 나름 공부하면서 민족적 감정을 배제하려고 노력한 것의 영향일 수 있겠다.물론 한국인이 한국에서 메이지 유신을 고평가하는 것에는 민족적 감정이라는 벽을 넘어야 하기에상당히 위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868년부터 1932년까지의 일본을 본다면메이지 유신의 성과는 정말로 위대하고 훌륭하다고 밖에 표현이 안된다. 다만 그 기간 동안의 위대하고 훌륭한 성과는 완벽하지 않았다.나는 역사를 공부하면서 '성군'이라는 개념 자체를 지양하게 되었다.막말로, 군주가 완벽하게 선정을 베풀었다고 해도 그 속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이나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그 ..
다이쇼 로망
·
일본 근현대사/다이쇼
일본의 전성기를 논함에 있어 보통 두 시대가 언급된다. 하나는 전전 다이쇼 시대, 다른 하나는 전후 쇼와 시대이다.이 전성기라는 기준은 그 시대의 경제 수준이나 문화 수준만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다.저 두 시대의 공통점은 노스텔지어, 즉 일본인들이 향수를 느낀 시대라는 것이다. 다이쇼 시대의 특징과 발전상은 전반적으로 메이지 유신의 유산을 계승한 것에 가깝다.정치적으로 본다면 메이지 말엽에 등장한 정치인(가토 다카아키, 이누카이 츠요시, 오자키 유키오 등등)과 정치사상(자유주의, 민본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의 발전,그리고 메이지 유신의 성과를 뛰어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정당정치의 정착과 초연주의 번벌파의 몰락.경제 및 산업적으로 본다면일본 대기업의 성장 및 세계경제 진출, 그리고 자동차 등 고부가 상..
군축과 반서방 감정으로 물드는 다이쇼 일본
·
일본 근현대사/다이쇼
이전 글에서 다이쇼 덴노의 죽음까지 다루었다.사실 궁중모중대사건부터 다이쇼 시대의 끝까지 6년 밖에 되지 않고그 사이에 정말로 큰 정치적 사건이라고 한다면 관동대지진과 2차 호헌운동이 전부라서 생각보다 논할 게 없기는 하다.물론 요시노 사쿠조를 중심으로 한 민본주의론의 대두나 무산정당과 일본공산당의 등장 등이 있기는 하지만이건 중앙 정계에는 조금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건이었다.치안유지법이나 식민지 통치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였고, 대외정책이라고 해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다만 저 6년을 논해야 할 이유라고 한다면, 솔직히 1926년부터 1932년까지의 주요 사건에 있어 그 모든 원인이이 6년간 모두 출발한다.중화민국 군벌 간의 정세 변화, 금 해금 논의와 군축, 국가주의와 기타잇키의 활동 등등 말이다. ..
민본주의, 사회주의, 요시노 사쿠조 1
·
일본 근현대사/다이쇼
어느덧 다이쇼시대도 반 이상 적어내게 되었다.1921년(다이쇼10)의 하라 다카시 총리 피습사건까지 적었고, 다이쇼시대가 1926년에 끝이 나니,반은 진작에 넘었다고 봐도 무방하겠다. 하라 내각은 다이쇼시대에 일종의 전환점 역할을 했다.원했건 아니건, 하라 내각이 있던 기간 동안 수많은 정치적 변곡점이 있었다.입헌정우회가 기존의 사이온지 긴모치 계열에서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중심으로 전환되었고,얼마 안가 다나카 기이치가 입당하면서 정우회에 군국주의 성향이 입혀지기 시작했다.야마가타파 주요 군인들이 노쇠하여 요직을 떠났고, 야마가타 아리토모마저 실각하면서 육군 조슈파가 힘을 크게 잃는다.초연주의 번벌파의 새로운 중심축은 해군과 귀족이 되었지만, 중심을 잡아줄 인물이 대두되지는 않았다.외교적으로도..
메이지 유신이라는 혁명의 성과와 과제
·
일본 근현대사/메이지
메이지 유신을 성과라는 방면에서 바라보려면메이지 유신일본의 행정/사법/입법/외교/경제/산업/군사/문화/학문 등등 다양한 분야를 걸친,그 성공적인 근대화 및 서구화를 함축한 단어이다.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룩한 성공이며, 비유럽국가mtw31082.tistory.com이 글은 내가 블로그를 시작하고 가장 처음 쓴 역사에 대한 글이다.메이지 유신에 대한 내 생각을 집약하는 것이기도 하며, 메이지 유신에 대한 중립적인 평가를 설명하는 글이라고나는 생각한다. 몇년전 우리 교수님은 메이지 유신에 대해 이렇게 말하셨다.메이지 유신은 일종의 혁명이다. 유신(維新)이라는 단어의 뜻을 본다면 '낡은 제도를 고쳐 새롭게 함'이라는 것인데(출처:네이버 사전)오히려 이보다는 네이버 사전에서 설명하는 혁명의 뜻처럼'헌법의 범위를 ..
시간이 지나더라도 폭발은 예술이다
·
일본 근현대사/전전 쇼와
1945년일본은 연료 부족에도 불구하고 전황을 지속해야하는 가망 없는 소모전을 지속하고 있었고,그 일환으로 신요(자폭보트), 가이텐(인간어뢰), 가미카제(자폭전투기)라는 진짜 사람새끼면 할 수 없는 신무기까지 가용했다.이 중 가미카제가 가장 유명한 건 뭐 말할 필요가 없겠다.여러대의 전투기를 출동시켜 미국 군함에 돌격시켰으나대부분 격추 혹은, 바다에 들이박아 실패했고, 군함에 박는 데에 성공해도 장갑이 갖추어진 면에 들이 박는 일이 부지기수라군함을 침몰시키는 등의 전과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아니 애초에 전투기 조종사라는 고급 인력을 왜 그런 데에 쳐박고 ㅈㄹ이지? 뭐 암튼가미카제는 이래저래 미군입장에서 거슬리는 존재였고,그렇기에 미공군은 가미카제가 출동하는 아카에비행장을 폭격했으나 큰 성과를 못 거두고..

320x100